-이대호, “선수협 회장 판공비 1억 원 주자” 주창

-선수협 사무국이 “협회 살림살이 비해 너무 많다”고 반대하자 선수협 이사들 “최대한 줄 수 있는 상한선이 얼마냐” 물어. 결국 최상한선인 6천만 원 책정

-회장 고액 판공비, 셀프 인상? 10개 구단 이사진이 결정. 새 회장 된 이대호부터 적용

-“선수협 회장 판공비는 처음부터 회장 연봉 성격. 증빙 자료 생각조차 못 했을 것”

-“선수협, 고액 연봉자의 이익 대변 기관이자 돈벌이 단체로 변질. 선수 권익 보호와 복지 증진이라는 초심으로 돌아가야”

이대호(사진=엠스플뉴스)
이대호(사진=엠스플뉴스)

[엠스플뉴스]

프로야구선수협회장 이대호의 ‘고액 판공비’가 논란이 되고 있다. 엠스플뉴스의 취재 결과 애초 이대호가 주창했던 회장 판공비는 1억 원이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선수협 전·현직 관계자는 “이대호가 선수협 회장 후보로 올랐을 때 ‘회장 되면 고생하는데 판공비로 1억 원을 주자’고 주창했다. 자기가 회장이 될지 안 될지 모르는 상황에서 나온 말”이라며 “선수협 직원들의 반대로 ‘판공비 1억 원’이 무산됐다”고 증언했다.

판공비 1억 원은 무산됐지만, 선수협 회장 판공비는 기존 3천만 원에서 6천만 원으로 대폭 올랐다.

앞의 관계자는 “이대호가 판공비를 ‘셀프 인상했다’고 하지만, 실제론 선수협 이사회에 참가한 10개 구단 대표 선수들이 통과한 사안이다. 이대호가 회장에 당선되지 않았다면 다른 선수가 회장이 돼 판공비 6천만 원을 받았을 것”이라며 “일반 선수 대부분은 선수협 회장의 판공비가 얼마인지 최근까지도 모르고 있었다”고 말했다.

- 이대호, 선수협 회장 후보 되자 “판공비 1억 원 주자” 주창. 선수협 사무국이 “지나치게 높은 금액”이라고 반대하자 선수협 이사진이 나서 6천만 원으로 올려 -

선수협 총회 장면. 이대호가 당선되기 전까지 선수협 회장은 2년간 공석이었다. 이대호를 뽑은 선수들은 “누구도 선수협 회장을 맡으려 하지 않는다. 이대호 선수에게 큰 짐을 안긴 것 같아 미안하다”는 뜻을 나타냈다. 하지만, 취재 결과 이대호가 회장으로 뽑히기 전 수도권 구단 베테랑 A 선수가 '선수협 회장으로 봉사하겠다’고 나섰던 것으로 확인됐다. A 선수는 ‘고액 연봉자들의 이익만을 대변하는 지금의 선수협을 혁신하겠다’는 의지가 강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A 선수는 전임 선수협 수뇌부의 반대로 회장이 되지 못했다. 이 과정을 잘 아는 야구 관계자는 “A 선수에 대해 전임 수뇌부가 난색을 보인 건 사실이다. 뭐가 두려웠는지…”하고 말끝을 흐렸다.(사진=엠스플뉴스)
선수협 총회 장면. 이대호가 당선되기 전까지 선수협 회장은 2년간 공석이었다. 이대호를 뽑은 선수들은 “누구도 선수협 회장을 맡으려 하지 않는다. 이대호 선수에게 큰 짐을 안긴 것 같아 미안하다”는 뜻을 나타냈다. 하지만, 취재 결과 이대호가 회장으로 뽑히기 전 수도권 구단 베테랑 A 선수가 '선수협 회장으로 봉사하겠다’고 나섰던 것으로 확인됐다. A 선수는 ‘고액 연봉자들의 이익만을 대변하는 지금의 선수협을 혁신하겠다’는 의지가 강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A 선수는 전임 선수협 수뇌부의 반대로 회장이 되지 못했다. 이 과정을 잘 아는 야구 관계자는 “A 선수에 대해 전임 수뇌부가 난색을 보인 건 사실이다. 뭐가 두려웠는지…”하고 말끝을 흐렸다.(사진=엠스플뉴스)

이대호가 제10대 선수협 회장에 당선된 건 지난해 3월 22일이다. 이대호는 이날 열린 선수협 회장 총투표에서 최다득표를 기록했다.

이대호가 회장 후보로 나왔을 때 그의 발언을 기억하는 이들이 있다. 당시 선수협 이사회에 참가했던 B 씨는 “이대호가 ‘선수협 회장이 고생하니 판공비로 1억 원을 주자’고 나섰다”며 다음과 같이 말을 이었다.

“이대호의 1억 원 발언이 나오자 이사회에 참가한 구단 대표 대부분이 찬성했다. 이유는 이대호의 얘기처럼 ‘회장이 고생하기 때문’이었다. 그러자 당시 선수협 사무국이 ‘협회 살림살이를 고려했을 때 1억 원은 지나치게 높은 금액이다.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며 반대 의사를 나타냈다.”

B 씨는 “솔직히 기존 회장 판공비 3천만 원도 큰돈이었다. 따지고 보면 회장이나 이사들이 선수들을 위해 고생하는 건 당연했다. 남의 일도 아니고 자기들 일 아닌가. 게다가 1,5군이나 2군 선수들 처우와 관련한 이야기는 거의 하지도 않는다. 그런데 그 선수들은 자신들이 고생한다고 믿고 있다”며 “그렇다고 선수협의 주인인 선수들의 의견을 외면할 수도 없는 입장이었다”고 전했다.

이사회 멤버들은 선수협 사무국에 “선수협에서 최대한 책정할 수 있는 회장 판공비가 얼마냐”고 물었다. 선수협 사무국이 “5, 6천만 원이 맥시멈”이라고 하자 이사회 멤버들은 회장 판공비로 6천만 원을 책정했다. 판공비 2배 인상의 첫 적용은 새 회장이 된 이대호부터였다.

- “이대호 판공비 6천만 원. 말이 판공비지, 회장 연봉 성격의 돈. 판공비로 접근하니까 서로의 말이 꼬이는 것” -

지난 9월 엠스플뉴스가 선수협 김태현 사무총장에게 “이대호 회장의 판공비가 6천만 원인가“라고 질의하자 김 사무총장은 “저도 모릅니다. 이 회장에게 직접 물어보셔야할 거 같습니다“라고 답했다. 이때부터 엠스플뉴스의 취재가 시작됐다. 회장 판공비 액수를 사무국을 진두지휘하는 사무총장이 '모른다'는 게 납득이 되지 않은 까닭이다(사진=엠스플뉴스)
지난 9월 엠스플뉴스가 선수협 김태현 사무총장에게 “이대호 회장의 판공비가 6천만 원인가“라고 질의하자 김 사무총장은 “저도 모릅니다. 이 회장에게 직접 물어보셔야할 거 같습니다“라고 답했다. 이때부터 엠스플뉴스의 취재가 시작됐다. 회장 판공비 액수를 사무국을 진두지휘하는 사무총장이 '모른다'는 게 납득이 되지 않은 까닭이다(사진=엠스플뉴스)

이대호는 판공비 6천만 원을 개인 계좌로 받았다. 선수협에 판공비 사용 명세를 제출한 사실도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판공비는 영업활동과 관리활동을 수행할 때 발생하는 비용이다. 판공비를 업무추진비, 기밀비, 접대비로 부르는 것도 그 목적이 직책의 업무와 관련한 지출이기 때문이다. 당연한 이유로 판공비 지출엔 증빙 서류가 따른다.

선수협 전 관계자는 “선수협 사무총장은 판공비를 현금이 아닌 법인카드로 사용하는 게 관례였다. 사용 용도를 명확하게 따질 수 있고, 증빙 서류를 따로 만들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렇다면 어째서 이대호는 판공비 6천만 원을 개인 계좌로 받은 걸까. 그리고 어째서 증빙 서류를 제출하지 않은 것일까.

답은 간명하다. 이대호의 판공비는 처음부터 업무추진비 성격이 아닌 ‘보수’ 성격이었기 때문이다.

선수협 관계자 C 씨는 “선수협 회장들의 판공비는 말이 판공비지, 실질적으로 회장 연봉, 보수 개념이다. 좋지 않게 보면 '눈먼 돈'이기도 하다. 처음부터 그런 성격의 돈이었으니 업무추진비로만 써야 한다는 개념이 없었을 거다. 증빙 서류? 그걸 누가 신경이나 썼겠나. 이 돈을 판공비라고 접근하니까 서로의 말이 꼬이는 것"이라며 "각 주체들이 봉사의 개념과 '선수협 돈은 선수들이 피땀 흘려 번 돈'이라는 걸 상기했다면 지금의 논란이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덧붙여 C 씨는 "언제부터인가 선수협이 선수 권익과 복지 증진이라는 초심에서 벗어나 고액 연봉자 중심 단체, 돈벌이 협회로 전락한 게 사실이다. 이번에 판공비 문제로 사퇴한 사무총장이 올해 코로나19 상황임에도 마케팅 직원만 2명을 더 뽑았다. 선수협이 과거처럼 선수들의 권리를 수호하기 위해 KBO와 맞서는 기사가 나오지 않은 것도 마케팅에만 집중했기 때문"이라며 "도대체 선수협이 왜 존재하는 것인지, 누구를 위해 필요한 곳인지 선수들 스스로 자문해봤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이근승, 배지헌, 박동희 기자 dhp1225@mbcplus.com

저작권자 © 스포츠춘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 후원하기 후원하기